Matlab에서 대괄호는 벡터나 행렬을 나타낸다.
행벡터 [3 4 5]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a=[3 4 5] 와 같이 타이핑 하면 된다.
Matlab 화면상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.
>> a = [3 4 5]
a =
3 4 5
벡터는 원소 초기값과 최종값, 그리고 증가분으로 나타내면 자동으로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.
시간, 진동수 등과 같은 독립변수를 나타내는데 적합하다.
초기값이 0이고 최종값이 10이며 1씩 증가하는 벡터 x = [0 1 2 3 4 5 6 7 8 9 10]은 x = [초기값 : 증가분 : 최종값]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.
>> x = [0:1:10]
x =
0 1 2 3 4 5 6 7 8 9 10
행벡터 x에 '을 붙이면 열벡터가 된다. x = [1 2 3]인 경우 x'는 다음과 같다.
>> x = [1 2 3];
>> x'
ans =
1
2
3
다차원의 행과 열이 있는 벡터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다.
>> C=[1 2 3; 4 5 6; 7 8 9]
C =
1 2 3
4 5 6
7 8 9
입력 시 ;를 붙히면 다음 행으로 넘어가게 된다.
벡터나 행렬의 원소를 연산하기 위해서는 마침표를 앞에 쓴다. 예를들어 A = [1 2 3]과 B = [4 5 6]의 원소끼리 곱하면 결과는 [4 10 18]이 된다. Matlab에서는 곱셈 * 앞에 . 를 붙여야하며 붙이지 않으면 행렬의 곱으로 계산된다.
>> A = [1 2 3];
>> B = [4 5 6];
>> C = A .* B
C =
4 10 18
위의 A와 B의 원소끼리의 나눗셈도 다음과 같다.
>> C = A ./ B
C =
0.2500 0.4000 0.5000
복소수와 실수와 허수부를 그대로 써주면 된다. 허수는 i나 j로 입력해준다.
>> A = -4+7j
A =
-4.0000 + 7.0000i
>> A = -4+7i
A =
-4.0000 + 7.0000i
복소수 연산도 일반 변수의 경우와 동일하다. 두 복소수 x, y를 x = -1 + 2i 와 y = 5 - 3j 라고 할 때, x + y, x - y, xy, x/y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.
>> x = -1+2i;
>> y = 5-3j;
>> x+y
ans =
4.0000 - 1.0000i
>> x-y
ans =
-6.0000 + 5.0000i
>> x*y
ans =
1.0000 +13.0000i
>> x/y
ans =
-0.3235 + 0.2059i
'Matla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atlab 기초] 논리 연산자 (1) | 2020.02.12 |
---|---|
[Matlab 기초] 데이터 교환 (0) | 2020.02.11 |
[Matlab 기초] M파일 생성 (0) | 2020.02.10 |
[Matlab 기초] 그래프 그리기 (0) | 2020.02.09 |
[Matlab 기초] 행렬 연산, 역행렬 (0) | 2020.02.09 |